'이것' 먹으면 혈압 낮춘다..."저염 식단 보다 효과적"
캐나다 워털루대학, 칼륨 섭취와 혈압 조절 상관관계 분석
칼륨 섭취, 저염 식단보다 혈압 조절에 효과적
자연식품 통한 칼륨 섭취 권장…신장 기능 저하자는 주의해야
소금 섭취를 줄이는 것보다 바나나 등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혈압 조절에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연구팀은 칼륨의 혈압 조절 효과를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칼륨과 나트륨의 비율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팀은 칼륨 섭취와 혈압 조절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수학 모델을 바탕으로 모의실험을 진행했다. 일반 식단에서 칼륨과 나트륨 섭취량을 변화시켰을 때 혈압과 관련된 생리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특히, 평소보다 칼륨 섭취를 2배 늘렸을 때 혈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남성의 혈압은 최대 14㎜hg, 여성은 최대 10㎜hg까지 혈압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혈압 정상 범위는 수축기에 120㎜hg 미만, 이완기에 80㎜hg 미만일 때로 본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이완기에 90㎜hg 이상일 경우이다.
칼륨은 바나나, 시금치, 브로콜리, 고구마, 콩류, 감자, 아보카도 등 식물성 식품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특히 가공식품이 아닌 자연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칼륨 섭취를 늘리는 데 효과적이다. 단, 신장 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칼륨 과다 섭취가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 책임자인 아니타 레이튼 교수는 "많은 사람이 소금 섭취를 줄이는 데만 집중하지만, 칼륨 섭취를 늘리는 것이 혈압 조절에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수치적으로 증명한 연구"라고 밝혔다. 이어 "신장은 나트륨과 칼륨을 동시에 조절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칼륨을 충분히 섭취하면 자연스럽게 나트륨 배출이 촉진돼 혈압이 안정된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또 다른 연구진 멜리사 스타트는 "초기 인류는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했으며 그 결과 우리 몸의 조절 시스템은 고칼륨 저염 식단에서 가장 잘 작동하도록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 서구식 식단은 나트륨 함량이 훨씬 높고 칼륨 함량이 낮은 경향이 있다"라며 "이는 고혈압이 산업화한 사회에서 주로 발견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나트륨과 칼륨에 의한 혈압 조절: 성별에 따른 모델링 연구, modulation of blood pressure by dietary potassium and sodium: sex differences and modeling analysis)는 지난 20일 미국생리학회 공식 학술지인 '미국 생리학회지-신장생리학(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 renal physiology)'에 게재됐다.